제어문은 코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자바와 문법이 달라서 처음 사용했을 때 많이 헷갈렸습니다.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for 루프
반복할 개체의 변수 이름: 실행할 코드 |
위 구문을 사용하여 i 변수에 하나씩 반복될 배열 1, 2, 3, 4를 출력해 봅시다.
이와 같이 인쇄하는 Java
for( i = 1, i < 5, i++){
system.out.println(i);
}
직접 입력해야 하는데 방법이 달라서 헷갈리는데 파이썬이 더 간결하고 편리한 것 같습니다.
Python에서는 range() 함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부분만 출력할 수 있습니다.
range(0, 6)은 0부터 6번째 인덱스 번호까지의 숫자를 출력합니다.
그래서 0부터 5까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hile 루프
while 조건문: 실행할 코드 |
조건문이 참이면 코드를 실행하고, 거짓이면 while문을 종료하고 루프문을 종료한다.
value 변수에 5를 저장하고 1을 뺀 후 값이 0이 되면 루프를 종료하는 명령문입니다.
당분간은 쓰기 편한 것을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f else elif 조건문
조건문은 조건이 만족되면 다음 명령문을 실행하는 명령문입니다.
여기서 들여쓰기에 주의하세요.
if 조건: 실행할 코드 |
변수에 10을 저장하고 변수가 5보다 크면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10이 5보다 크므로 조건을 만족하면서 문자열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조건을 5가 아닌 15로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아무 것도 출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if 문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때 실행되는 else 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수명 m에는 10이 저장되고, if 문의 조건에서 m이 100보다 크면 item 변수에 big이 저장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작게 저장한 후 항목을 출력하면 10이 100보다 작기 때문에 작게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elif 문을 사용해 봅시다.
한 번 점수를 받게 됩니다.
input()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수신하고 int로 변환하는 구문을 작성했습니다.
저는 80점 넣었습니다.
이제 if elif else를 사용하여 등급을 반환해 보겠습니다.
90 이상은 A, 80 이상 90 미만은 B, 70 이상 80 미만은 C, 60 이상 70 미만은 D
그 외의 경우에는 F를 주는 조건이 주어지고 입력값 80이 80보다 크고 90보다 작으므로 B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