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고려 문중 귀족 사회의 변화 과정 알아보기
1) 고려 사회의 특징 : 씨족 양반 중심의 사회
– 과거와 음서를 통한 세습, 공적 음전(5직/상속부터 가능), 과도한 전승, 불법 토지 확장을 통한 경제력 독점, 왕실과의 혼인관계 및 혼인지향 엇갈림 귀족과 신관료의 대립, 인간의 삶의 악화
※미리 이야기하자 ‘이자겸의 난’이 귀족 사회를 잠시 뒤흔든다. |
2) 이자겸의 난과 서경이주운동
가. 이자겸의 난(1126년) : 이자겸이 최고 양반인 경원 이씨를 없애려다 반란을 일으켜 → 이자겸 양반사회의 붕괴를 앞당길 기회
나. 묘청의 서경 천도 움직임
– 묘충을 비롯한 서경계는 서경으로 천도하고 자주적 혁신정치 주장 : 개경계 귀족반대 → 서경봉기
※ 청황제 건원, 금국정벌, 서경정착(북방정치, 고구려계슬) 등 독립인물
– 성격 : 귀족과 지방세력의 대립, 풍수론과 연계된 유교와 전통이념의 대립, 북방정치에 대한 이견과 갈등
※ 신채호에 따르면 지난 1,000년의 첫 번째 사건은 묘청의 서경으로 천도한 것이다.
개경파 : 김부식 / 유교 / 보수, 이성 / 신라 계승 / 금과 좋은 인연 유지 대 서경파 : 묘청 / 풍수 / 독립, 개혁 / 고구려 계승 / 금국 정복 |
3) 무신정변과 민중봉기
가. 무신 쿠데타
– 배경: 군관 차별, 의종 상황, 전쟁비 미납
– 과정: 정중부 문신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 군신들의 독재.
※ 무당(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의 권력다툼으로 사회불안 지속
* 이의민은 하층민으로 태어나 이의민의 민중봉기(누구나 일어날 수 있다)에 영향을 미쳤다.
나. 민중투쟁: 신분해방과 농민착취에 대한 저항 요구
망이 · 망쇠, 망자의 반란, 김사미와 효심
* 최충헌의 노비로서 만적은 “왕비의 집안 따윈 없다” = 신분 면제
※ 군정 통치자 및 권력기관 연도: 1170 – 1179 – 1183 – 1196 – 1219 지배자 : 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최우 권력의 조직: 중앙 – 도방 – 중앙 – 교정대백과 – 교정대백과 |
4) 최씨 일가의 군사독재 체제 수립
A. 최충헌
– 적군을 제거하고 민중봉기를 진압하여 정권을 안정시키고 후손이 4대(60년) 집권
– (정치-교정서/경제-식읍/군사-도방삼별초)로 권력정복
* 최우 집권 당시 문신으로 새긴 것
나. 신군부의 권력기구
– 징집병 : 군사력 향상을 위한 도방(근위)과 삼별초(야별초, 좌별초, 우별초)
– 정정사전 : 총국행정
– 정방 : 직원, 관리직(권한이 높은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