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23. 4. 18. 00:52
「정상회담의 성과는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동북아 정세가 위태롭다.
윤 총장은 바이든 설득해야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한일관계 개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6일 윤 총장은 박진 외교부 장관이 대위를 통한 강제징용 해법을 발표한 지 열흘 만에 일본으로 날아가 국교 정상화의 길을 열었다.
상당한 성과가 있었지만 한국이 양보한 만큼 일본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는 여론은 냉담하다.
한일협력을 통해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정부의 당초 계획은 적지 않은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보인다.
26일 한미 정상회담과 5월 열리는 G7 정상회의가 좋은 기회다.
윤 총장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아베 총리를 부통령으로 설득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이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https://v.daum.net/v/20230418005229361
(에세이) 미국이 움직여야 한일관계 깨질 수 있다
(에세이) 미국이 움직여야 한일관계 깨질 수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한일관계 개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윤 총장은 지난달 6일 박진 외교부 장관이 3자대위 방식을 수용했다고 밝혔다.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