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나무 껍질 효능

버드 나무는 맛이 쓰고 성질은 차고 맵고 독이 없다며 바람을 없애고 부은 것을 치우며 소변을 잘 하도록 하고 통증을 줄이는 작용이 있다.
음식을 잘 소화하고 몸 속의 물기를 취하겠다고 합니다.
또 풍습에 따른 뼈 마디의 통증, 소변이 뿌옇게 나오는데, 전염성 간염, 중금속 중독, 충치, 치근염을 치료한대요.또 유의 껍질에는 탄닌,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브산, 배당체, 살리실산 등의 성분이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살리실산은 열을 가라앉히고 뼈 마디의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버드 나무 껍질은 열을 푸는 작용이 뛰어나며 세계 각국에서 키니네가 알기까지 학문질 치료약으로 널리 사용되고 요즘도 가끔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버드 나무 흰 속껍질은 통증을 없애주는 류마티스, 감기, 학문질, 황달, 간염 등을 고치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입 안에 생긴 염증에는 속껍질을 진하게 달여서 그물로 양치질을 하면 잘 낫고, 버드 나무의 꽃눈은 황달, 창과 칼에 다친 것, 습기에 의해서 몸이 굳어지는 마비된 것, 부종, 화상, 열 독, 이빨이나 잇몸 아픈 것 등에 쓴답니다.

황버들

관심이 없으면 봐도 안 보이고 들어도 안 들리고 아무리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그 맛을 모르겠다는 말이 있습니다.
저한테 버드나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어렸을 때부터 여기 있던 나무인 버드나무가 저는 무슨 나무인지 몰랐거든요. 버드나무가 이렇게 가까이 있는지 몰랐고 버드나무 씨앗이 날아가는 5월, 미친 듯이 아름답다는 것을 모르고 살았습니다.
버드나무는 물가에 살면서 물고기 둥지가 되고 새들의 안식처도 제공하며 강물도 정화시켜 사람들에게 시원한 그늘이나 목재, 그리고 놀이로 사용할 수 있는 버드나무 피리 등 유용하고 좋은 것을 주는 나무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알게 된 버드나가 건강에도 효능이 있다는 이야기를 알게 되었습니다.

버드나무 겨울눈

버드 나무 껍질 진통제 버들 껍질을 물로 끓여서 농축하고 가루를 내고 진통제를 활용할 수 있대요. 이렇게 만든 것으로 복통, 무릎의 통증, 치통, 구내염, 감기, 피부병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고, 아스피린에 비해서 독성이 적은 부작용이 없어서 안심할 수 있다고 말해지고 있습니다.
만들 때는 춘류이 물이 올랐을 때 취한 가죽을 사용해야 하며, 벗긴 껍질은 솥에 넣어 증기로 쪄서 햇빛이나 따뜻한 곳에 두고 말리고 잘게 자르고 씻은 다음 물을 부어 2번 찌지 않으면 안 되지만 1번째는 버드 나무 껍질의 분량의 10배를 쏟고 8시간 끓이다가 2번째는 껍질에 물을 8배로 넣어 6시간 달여서 처음으로 끌어낸 물과 2번째의 물을 맞추어 천으로 곱게 거르고 물엿처럼 될 때까지 고아 농축해서 가루로 만들라고 합니다.
또 대장 암 등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차에서 먹는 것도 많다고 합니다.
버드 나무 껍질을 먹는 방법으로서는 건조한 버드 나무 껍질 30~50그램과 물 2리터를 넣고 끓이는데 물이 끓으면 약한 불로 낮추고 물이 반으로 줄때까지 달인 뒤 하루 1잔씩 복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유의 과잉 섭취는 가슴 앓이 등의 부작용도 있다고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수술을 앞두고는 섭취해서는 안 된대요.

버드나무 껍질은 2천 년 전부터 유럽에서는 통증 완화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오랫동안 버드나무를 진통제로 사용해 왔는데 진통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 무엇인지 밝혀진 것은 19세기 들어서라고 합니다.
어떤 학자가 버드나무 껍질에서 진통 성분을 추출하여 ‘사리신’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하며, 이후 살리신을 개량하여 진통 효과가 더 뛰어난 ‘사리실산’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약의 단점이 너무 써서 위장을 자극한다는 건데 진통제 효과는 유지되면서 먹기 훨씬 편한 아세틸살리실산이 나오게 됐는데 이 약을 아스피린이라는 이름을 판매했고 이후 우리가 알다시피 아스피린은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이 됐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버드나무가 진통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고 약용 나무로 이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버드나무를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하면 치통이 낫는다는 기록이 동의보감에 적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대 중국에서는 치통을 겪었을 때 작은 버드나무 가지로 이 사이를 문질렀다고 합니다.
또한 이순신 장군이 다쳤을 때 버드나무로 다친 곳을 치료했다는 일화가 전해졌기 때문에 버드나무의 효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버드나무 껍질의 효능